top of page
Projects
No. | Project | Year | Funding Agency |
---|---|---|---|
20 | 기후위기 영향·취약성 평가도구 고도화 | 2025-2026 | 환경부 |
19 | 경기도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탄소 저장 흡수량 분석 및 정보구축 연구 | 2024-2025 | 경기연구원 |
18 | 산림의 가치증진을 위한 임업 기술 첨단화 및 스마트조림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 2024-2029 | 산림청 |
17 |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온전한 생태계 보전과 탄소중립을 위한 보전 방안 분석 | 2024 | 국립수목원 |
16 | 베트남 REDD+ 사업 사전 타당성 조사 | 2024 | 산림청&WWF |
15 | 과학원에 구축된 환경DB를 활용한 평가도구 운영·개선 방안 | 2023-2024 | 국립환경과학원 |
14 | 남아프리카공화국 음봄벨라시 개별수목모니터링과 탄소중립을 위한 최적의 산림경영계획 수립 | 2023-202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13 | 생물다양성 보전과 탄소저장 기능 극대화를 위한 보호지역의 패러다임 전환 | 2023-2027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12 | 산불피해예방 및 지역임업 복원 모델 개발과 실증 | 2023-2025 | 산림청 |
11 |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도구 고도화 (Ⅰ) | 2023 | 한국환경연구원 |
10 | 자연기반해법 적용을 위한 생물다양성정보 분석 및 모니터링 연구 | 2022 | 국립생물자원관 |
9 | 강원권역 산림경영 모델림 운영기반 구축 및 산림생태계서비스 장기 모니터링 설계 | 2022 | 국립산림과학원 |
8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형 통합 영향평가 모형 요소기술 개발 | 2022 | 한국환경연구원 |
7 | 난대상록수류 우수 가계 선발 및 종자 품질과 채종원 조성·관리 기술 개발 | 2022 | 산림청 |
6 | 기후변화에 따른 고산생태계의 시공간적 변화 연구 | 2021-202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5 | 국가 기후변화 리스크 진단 방법 마련 연구 | 2021-2022 | 한국환경연구원 |
4 |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후 레퓨지아와 기후 적응 연결성 평가 | 2021-202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3 | 숲속의 한반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평화도시 조성 기반 구축 | 2021 | 산림청 |
2 | 적응대책 연계 강화를 위한 취약성평가도구(VESTAP) 지표 개선 연구 | 2021 | 한국환경연구원 |
1 | 기후변화 완화 · 적응을 위 한 자연·생태 기반 추진전략 | 2021 | 환경부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