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y 4, 2022
LMG Lab news published in SNU Foresty Alumni Association newsletter 2022
Read about us.
경관보전계획 및 공간정보학 연구실 소개
경관관리 및 공간정보학 연구실은 올해 2년차를 맞이한 신설 연구실입니다. 2021년에 부임하신 최혜영 교수님께서 연구실을 이끌고 계시며 현재 석사과정 1명과 학부연구생 2명의 학생이 소속되어 있습니다. 학부 전공교과목으로 ‘산림지리정보학 및 실습’, ‘경관관리학 및 실습’, ‘산림경관보전계획’을 맡아 강의하고 계십니다.
연구실의 주된 연구 목표는 경관생태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단위 산림생태계의 보전가치 평가와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산림생태계는 기후 변화, 대규모 벌채, 침입외래종 확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위협받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는 식생변화, 산림재해 거대화 등 여러 측면에 영향을 주어 적극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연구 주제로 산림 생태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산림생태계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전략 계획,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효과 적인 자연기반해법 계획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정책 수립을 위한 정량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현재는 기후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아고산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 하기 위하여 지리산을 중심으로 경관변화모델 기반의 추정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최혜영 교수님은 국가적 규모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연구를 장기간 수행하고 계십니다. 세부적인 연구 내용으로 국가 단위의 생물다양성 분포 평가, 효율적인 보호지역 확장 계획, 식물종 그룹의 기후 네트워크 코리더 계획,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산림관리 방안을 연구하고 계시며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의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 연구실 에서는 기후변화 레퓨지아(refugia) 분석 연구와 기후다양성 분석을 통한 보호지역 설정 연구를 중점적 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산림경관의 이해와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학술교류활동으로 지난 2021년도에 한국환경복원 기술학회의 추계학술대회에 참가하여 2명의 학생이 학술논문발표를 하였고, 그중 1명이 최우수발표상을 받는 좋은 결과가 있었습니다. 올해 국제학술교류 활동으로 미국생태학회(ESA)에 참가를 계획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연구교류를 활발히 지속하고자 합니다.
산림환경학 전공의 새로운 연구실인만큼 아직 부족한 점들이 있지만 향후 학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후배들을 위한 임학 동문회의 지원에 항상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특히 함께 연구할 수 있는 구성원을 모집하고 있으니 주변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홍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동문회 회원님들께 다시금 찾아오는 봄처럼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